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BK21 연세바이오시스템 교육연구단

소식과 동향

home  >  게시판  >  소식과 동향
오영준 교수 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Cyclin-dependent kinase 5 (CDK5)과활성화에 따른 Fbxw7 단백질의 감소의 기전 규명
  • 관리자
  • |
  • 1022
  • |
  • 2019-10-10 13:16:22

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Cyclin-dependent kinase 5 (CDK5)과활성화에 따른 F-box and WD repeat domain containing 7 (Fbxw7) 단백질의 감소의 기전규명

- CDK5의 활성을 조절하는 인자인 p35 단백질이 주로 신경계 내에서 존재한다. 따라서, CDK5는 신경세포의 발생, 분화 및 사멸에 관련되어 그동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에서는 활성조절인자 단백질인 p35가 p25로 절편화 되는 현상이 보고되었고, 이에 따라 CDK5의 활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있다. p25로 절편화가 되면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p25의 mislocalization에 따른 핵내기질의 인산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과활성화된 CDK5에 의해 조절받는 핵내인자를 새롭게 발굴하는 것은 퇴행성 뇌질환 연구 및 장기적인 약물후보군 확립에 큰 도움이 되어 왔다.

- 본 연구실에서는 고연욱 박사의 주도하에 CDK5가 과활성 되어있는 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Fbxw7의 양적감소가 일어나는 현상과 이에 관련된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을 제시하여 세포사멸분야의 저명학술지인 Cell Death and Disease 에 게재를 하게 되었다.

- 구체적으로 CDK5/p25를 과발현 시킨 모델에서 CDK5는 Fbxw7의 S349와 S372 site에 인산화를 시키며, CDK5/p25 knock-down모델에서 이와 같은 인산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Fbxw7의 인산화는 UPS나 calpain에 의해 절단이 되어 발현양이 감소하게 됨을 밝혔다.

- Fbxw7은 그동안 E3 ligase의 component로 주목을 받아왔으나 신경세포내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였다. Fbxw7의 세포내기질로는 c-Jun, c-Myc, Notch 등이 밝혀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CDK5의 활성에 따라 Fbxw7의 양적인 변화가 일어나면 세포내 기질중에서 c-Jun의 발현양이 결과적으로 negatively regulation 됨으로서 CDK5-Fbxw7-c-Jun axis가 신경세포사멸을 조절함을 최초로 밝혔다. 또한, CDK5-E3 ligase-neuronal cell death로 이어지는 중심축의 존재를 CHIP에 이어 두 번째로 제시하는 개가를 이룩하였다. 현재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odel을 통해서 위의 결과를 심화시키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Fbxw7 (또는 E3 ligase)단백질이 퇴행성뇌질환에서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치료제의 발굴을 위한 생물학적인 지표로 활용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 「Cell death and Disease」誌 게재 ('19.08) 

 

다음글 병저항성 관련 식물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조·기능 세계 최초 구명
이전글 송재환 교수팀, Notch signaling을 조절하는 새로운 탈유비퀴틴화 효소(DUB)로 USP8을 발견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