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BK21 연세바이오시스템 교육연구단

소식과 동향

home  >  게시판  >  소식과 동향
정은지 교수, 치매·자폐증 환자 ‘촉각 장애’ 치료 가능성 열어
  • 관리자
  • |
  • 870
  • |
  • 2020-10-16 09:59:57


정은지 연세대 교수 · 이창준 IBS 단장 공동 연구팀
뇌질환자 촉각 무뎌지는 증상… ‘별세포’에 실마리

별세포가 분비하는 물질, 촉감 지각 능력에 영향

 

 

국내 연구진이 치매, 자폐증 등 뇌질환의 증상 중 하나인 촉각 장애의 원인을 밝히고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과 정은지 연세대 교수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뇌의 별세포(astrocyte)가 촉감을 구분해 반응하는 촉감 지각 능력을 조절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성과는 국제 학술지 뉴런(Neuron)에 이날 게재됐다.

촉각은 날카롭거나 뜨거운 물체와 같은 외부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 중요한 감각이다. 뇌질환을 앓는 경우 촉각이 무뎌지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아직 촉각이 어떻게 전달되고 그 민감도가 조절되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아 치료법도 나오지 못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감각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경세포가 아닌 별세포에 주목했다. 별세포는 별 모양을 하고 있는 뇌 세포의 한 종류로, ‘가바(GABA)’라는 물질을 분비한다. 가바가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으면 촉각이 뇌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해 촉각 장애가 발생한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가바 분비량을 조절해가며 촉각 능력의 변화를 알아봤다. 가바 분비를 억제한 쥐와 정상 쥐에게 여러 단계의 거칠기를 가진 사포지에 접촉시켰다. 사포지는 가장 부드러운 것(80)부터 가장 거친 것(400)까지 사전에 수치화했다.

실험결과 가바 분비를 억제한 쥐는 정상 쥐(180)보다 미세한 거칠기를 구분하지 못했다. 실험 쥐의 가바 분비량을 늘렸더니 이번에는 80 수준의 거칠기까지 구분해내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별세포의 가바 분비량을 조절해 촉각 능력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별세포의 가바 분비를 늘려 뇌질환자의 촉각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 것이다. 이 단장은 "신경세포뿐만 아니라 별세포도 인지 기능에 중추적 역할을 한다는 걸 보여줬다"며 "다양한 뇌질환 치료에 획기적인 돌파구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글 권호정 교수, 2020년 동헌생화학상 수상
이전글 박현우 교수, 국가과학난제도전 AST암전이연구단 선정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 입력
비밀번호
확인
TOP